posted by 귀염둥이채원 2018. 11. 27. 05:20

하드링크

 

예를들어 abc.txt라는  파일을 만들었다고 칩시다.

 

abc.txt원본파일의 하드링크를 생성하면 habc로 나옵니다.

 

이 하드링크의 특징은 원본파일을 수정해도 하드링크된 파일에게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.

 

그냥 복사본같은 느낌이죠?? 근데 완전한 복사본이라고 할 순 없답니다.

 

이번에는 심볼릭링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심볼릭링크

 

위에서 링크를 바로가기그 자체라고 표현했는데요 하드링크를 바로가기라고 표현하기엔 약간 무리수 

 

가있고  이게 바로 바로가기의 표본이라고 보면됩니다. 생성하면 sabc로 표현되구요.

 

원본파일이 없어지거나 수정되어지면 이 심볼릭링크는 영향을 받습니다.

 

물론 원본파일이 삭제되면 실행 불가하겠죠??

 

하나 간단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.

 

abc.txt파일이 잇는데 habc와 sabc파일을 만듭니다. 그리고 abc를 삭제합니다.

 

자이제 그럼 sabc는 실행하지못하고 habc는 뭐 아돈케어 하고 실행되겠지요??

 

habc는 원래 원본파일이 쓰던 Inode를 그대로 복사한거니까 실제데이터를 찾아갑니다.

 

abc원본이 삭제해도 Inode는 어딘가에 남아있어서 habc가 그곳을 찾아가는겁니다.

 

 

링크 생성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

 

hard link

 

ln <링크원본 파일> <링크 파일명>

 

symbol link 

 

ln -s <링크 원본> <링크 파일>

 

하나 예를 들어보자면 

 

ln -s /tmp/abc /sabc

 

항상 절대경로를 써주어야하고요.

 

만약에 심볼링크의 권한을 바꾼다면 심볼링크자체의 권한은 안바뀌지만

 

원본의 권한이 바뀌어버립니다.

posted by 귀염둥이채원 2018. 11. 27. 04:51

 

 

/ (root) 
- 마운트 되는 리눅스 파일 시스템이 있는 최상위 디렉토리 
- 시스템의 근간을 이루는 가장 중요한 디렉토리 
- 파티션 설정 시 반드시 존재하여야 함 
- 절대경로의 기준이 되는 디렉토리 
※ 절대경로 - / 디렉토리 기준 예) /usr/local 
상대경로 - 현재 작업 디렉토리 기준 예) ./local

/bin 
-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(binary)들이 들어있는 디렉토리 
-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기본적인 명령어들이 들어 있음.

/sbin 
- 시스템 관리에 관련된 실행 명령어들이 들어있는 디렉토리 
- 시스템 점검 및 복구 명령, 시스템 초기 및 종료 명령 등 시스템 관리에 관련된 실행파일들 존재.

/lib 
- 프로그램들이 의존하고 있는 라이브러리 파일들 존재. 
- /lib/modules : 커널 모듈 파일들 존재. 
- 대부분의 라이브러리들은 링크로 연결되어 있음.

/proc 
-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 파일 시스템. 
- 커널의 어떤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역할을 가지고 있음. 
- 대부분 읽기 전용이나, 일부 파일중에는 쓰기가 가능한 파일이 존재 하는데 이러한 파일들에 특정 값을 지정하면 커널 기능이 변하게 됨. 
- 이 디렉토리 내에 있는 파일을 cat 명령을 이용하여 보면 시스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음. 
예) 인터럽트 정보 확인 ---> cat /proc/interrupts

/etc 
-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 
- 네트워크 관련 설정파일, 사용자 정보 및 암호정보, 파일 시스템 정보, 보안파일, 시스템 초기화 파일등 중요 설정 파일들의 위치한 디렉토리 
- /etc/CORBA : 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(COBRA)에 관한 파일이 들어있음. 
- /etc/X11 : 엑스 윈도우 설정에 관련된 파일들이 있음. 
- /etc/cron.d : crontab 명령의 설정파일이 있음. 
- /etc/cron.daily : 매일 작동하게 하는 crontab 스크립트 파일이 존재. 
- /etc/gnome : GTK+ 정의파일들이 있음. 
- /etc/httpd : 아파치 웹 서버의 설정 및 로그파일이 있음. 
- /etc/logrotate.d : logrotate 설정 파일들이 있음. 
- /etc/mail : 센드메일과 관련된 파일이 있음. 
- /etc/ppp : ppp 설정에 관련된 파일들이 있음. 
- /etc/profile.d : 쉘 로그인 하여 프로파일의 실행되는 스크립트에 대한 정의가 있음. 
- /etc/rc.d : 시스템 초기화와 관련된 스크립트가 존재. 
- /etc/samba : 삼바에 관련된 파일들이 있음. 
- /etc/security : 터미널 보안에 관련된 설정이 있음. 
- /etc/skel :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할 때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디렉토리와 파일이 있음. 
- /etc/squid : squid 프록시 서버에 관련된 파일이 있음. 
- /etc/ssh : secure shell 설정 파일이 있음 
- /etc/sysconfig : 시스템과 네트워크 설정을 담고 있음. 
- /etc/xinetd.d : 슈퍼데몬 xinetd.d의 서비스 영역을 설정하는 디렉토리.

/var 
- 가변 자료 저장 디렉토리 
- 시스템 운영중에 시스템 자료 데이터가 변경될 때 변경된 자료들이 저장되는 곳. 
- 주로 시스템 작동기록(log)들을 저장. 
- /var/log : 시스템에 발생된 일들에 대한 기록 파일이 있음 
- /var/named : 네임서버 설정 파일들 존재 
- /var/spool/mail : 수신 메일을 사용자 명으로 기록하는 디렉토리

/usr 
- 일반 사용자들을 위한 대부분의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위치. 
- /usr/bin :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이 위치 
- /usr/sbin : 주로 네트워크 관련 실행 명령어와 실행 데몬들을 많이 포함하고 있음. 
- /usr/X11R6 : X-window 시스템에 관련된 파일 존재. 
- /usr/include : 기본 C 라이브러리 헤더 파일과 각종 라이브러리 헤더파일들이 있음. 
- /usr/lib : /usr/bin과 /usr/sbin에 있는 실행 바이너리를 실행하기 위한 라이브러리 존재. 
- /usr/src : 프로그램소스 및 커널 소스들이 보관되어 있는 곳. 
- /usr/man : 매뉴얼 페이지가 담겨있는곳. 
- /usr/local : 새로운 프로그램들이 설치되는 곳 (windows의 Program Files 와 유사)

/mnt 
- 다른 장치들을 마운트 할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디렉토리 
- 다른 디렉토리를 사용하여도 됨.

/home 
- 일반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가 만들어 지는 디렉토리 
- 사용자 계정을 만들면 게정과 같은 이름으로 새로운 사용자 디렉토리가 /home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로 생성됨.

/boot 
- 부팅에 핵심적인 커널 이미지와 부팅 정보 파일을 담고 있는 디렉토리 
- /etc/lilo.conf에서 지정한 커널 부팅 이미지 파일이 들어 있으며 부팅시 매우 중요한 디렉토리

/root 
- 슈퍼유저(root)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. 
- / 와 /root 디렉토리는 부르는 이름은 같지만 서로 다름.

posted by 귀염둥이채원 2018. 11. 27. 03:31

리눅스 scp명령어 파일전송/디렉토리전송


SCP명령어는 서버간의 크기가 작은 파일과 디렉토리를 전송할 많이 쓰는 명령어 이다


Server -> Client


spc -r [Server 파일 경로] [사용자계정]@[Clinet IP 주소]:[Client 업로드 경로]

여기서 -R 옵션은 Recuresive를 의미한다 디렉토리를 전송할때 붙여준다


spc -r [Server 파일 경로] [계정]@[Clinet IP 주소]:[Client 업로드 경로] 이렇게 입력하면

Server -> Client로 업로드되 기 때문에 Client의 패스워드를 물어본데 그때 Client 패스워드를 입력후 업로드 하면된다


Server <- Clinet

scp -r [사용자계정]@[Server IP 주소]:[Clinet에서 Server로 다운로드 할 경로] [Clinet에서 다운받을 경로]이고

업로드 명령어에서 두 매개변수의 순서를 바꿔주면 다운로드 동작이 된다


여기서 가장중요한 scp -[옵션]을 입력하는 과정이다

-v [verbose] : 파일/디렉토리가 전송중이 과정을 상세하게 출력한다

-q [quiet] : 에러 및 기타 어떠한 메시지도 출력하는 않는다

-a [archive] : 아카이브 모드로 가조온다

-r  [recursive] : 하위 구조의 디렉토리 모두 재귀적으로 가져온다


TIP : 아카이브모드 - 아카이브모드는 파일/디렉토리를 전송 후 퍼미션 소유주 및 위치까지 그대로 가져온다

1 ··· 76 77 78 79 80 81